맨위로가기

2008년 하계 올림픽 양궁 남자 개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8년 하계 올림픽 양궁 남자 개인 경기는 베이징 올림픽 공원 양궁장에서 진행되었다. 랭킹 라운드,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폴란드의 야체크 프록과 대한민국의 이창환이 각각 64강전과 32강전에서 올림픽 기록을 경신했다. 결승전에서는 빅토르 루반(우크라이나)이 박경모(대한민국)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고, 바이르 바데노프(러시아)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8년 하계 올림픽 양궁 - 2008년 하계 올림픽 양궁 여자 단체
    2008년 하계 올림픽 양궁 여자 단체전은 대한민국이 랭킹 라운드와 8강전에서 신기록을 세우고 결승에서 중국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하여 6연패를 달성한 종목이다.
  • 2008년 하계 올림픽 양궁 - 2008년 하계 올림픽 양궁 남자 단체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양궁 남자 단체전은 대한민국이 이창환, 박경모, 임동현 선수로 팀을 이루어 금메달과 세계 신기록을 동시에 달성하고, 이탈리아가 은메달, 중국이 동메달을 획득한 대회이다.
  • 올림픽 양궁 - 2020년 하계 올림픽 양궁
    2020년 하계 올림픽 양궁은 5개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51개국 128명의 선수가 참가, 대한민국이 금메달 4개로 압도적인 성적을 거두었고 안산 선수의 3관왕 달성으로 주목받았으며 일부 논란이 있었으나 다양한 국가가 메달을 획득하며 국제적인 인기를 확인했다.
  • 올림픽 양궁 - 1904년 하계 올림픽 양궁
    1904년 하계 올림픽 양궁은 미국 세인트루이스에서 미국 선수 29명만이 참가하여 6개의 세부 종목에서 메달이 수여되었고, 조지 브라이언트와 마틸다 하웰이 각각 남녀부 2관왕, 미국은 전 종목 메달을 석권했다.
  • 올림픽 양궁에 관한 - 2020년 하계 올림픽 양궁
    2020년 하계 올림픽 양궁은 5개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51개국 128명의 선수가 참가, 대한민국이 금메달 4개로 압도적인 성적을 거두었고 안산 선수의 3관왕 달성으로 주목받았으며 일부 논란이 있었으나 다양한 국가가 메달을 획득하며 국제적인 인기를 확인했다.
  • 올림픽 양궁에 관한 - 1904년 하계 올림픽 양궁
    1904년 하계 올림픽 양궁은 미국 세인트루이스에서 미국 선수 29명만이 참가하여 6개의 세부 종목에서 메달이 수여되었고, 조지 브라이언트와 마틸다 하웰이 각각 남녀부 2관왕, 미국은 전 종목 메달을 석권했다.
2008년 하계 올림픽 양궁 남자 개인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종목남자 개인 양궁
대회2008년 하계 올림픽
박경모
은메달리스트 박경모 (쿠오 청 웨이와의 32강 경기 중)
개최지베이징
경기장올림픽 그린 양궁장
날짜8월 9일–15일
참가 선수64명
참가 국가37개국
우승 점수113점
이전 대회2004
다음 대회2012
메달리스트
금메달빅토르 루반
금메달 국가UKR
은메달박경모
은메달 국가KOR
동메달바이르 바데노프
동메달 국가RUS

2. 경기장

양궁 경기는 개최 도시인 베이징에 있는 베이징 올림픽 공원 양궁장에서 열렸다.

3. 경기 일정

15:30-18:0564강, 32강2008년 8월 15일 (금)10:30-12:1516강2008년 8월 15일 (금)16:00-16:528강2008년 8월 15일 (금)16:52-17:20준결승2008년 8월 15일 (금)17:21-17:50결승



4. 기록 경신

2008년 하계 올림픽 양궁 남자 개인전이 열린 베이징 올림픽 공원 양궁장


2008년 하계 올림픽 양궁 남자 개인전에서는 대회 중 새로운 올림픽 기록이 수립되었다.

대회 시작 전, 72발 랭킹 라운드의 세계 기록은 대한민국임동현이 보유한 687점[1]이었고, 올림픽 기록은 이탈리아미켈레 프란질리가 보유한 684점이었다. 12발 매치 세계 기록은 대한민국의 최원종이 세운 120점이었으며, 올림픽 기록은 이 대회 64강전 직전에 대한민국이창환이 세운 115점이었다.

대회 도중 12발 매치에서 새로운 올림픽 기록이 연이어 나왔다. 8월 13일 64강전에서 폴란드의 야체크 프로츠가 116점을 기록하며 올림픽 기록을 경신했고, 같은 날 32강전에서는 대한민국이창환이 117점을 쏘아 다시 한번 올림픽 기록을 새로 썼다.

4. 1. 기존 기록

이 대회 전까지의 세계 기록과 올림픽 기록은 다음과 같았다.

'''72발 랭킹 라운드'''

구분선수점수장소날짜
세계 기록대한민국 임동현687[1]아테네, 그리스2004년 8월 12일
올림픽 기록이탈리아 미켈레 프란질리684애틀랜타, 미국1996년 7월 28일



'''12발 매치'''

구분선수점수장소날짜
세계 기록대한민국 최원종120울산, 대한민국2005년 10월 18일
올림픽 기록대한민국 이창환115베이징, 중국2008년 8월 13일


4. 2. 신기록

2008년 하계 올림픽 양궁 남자 개인전 이전의 세계 기록 및 올림픽 기록은 다음과 같았다.




이 대회에서는 다음과 같은 새로운 올림픽 기록(OR)이 수립되었다.

날짜라운드선수국적점수비고
8월 13일64강전야체크 프로츠폴란드116올림픽 기록 (OR)
8월 13일32강전이창환대한민국117올림픽 기록 (OR)


5. 경기 결과

2008년 하계 올림픽 양궁 남자 개인전은 멕시코의 후안 레네 세라노가 랭킹 라운드 1위를 차지하며 시작되었다. 대한민국 선수로는 박경모가 4위, 임동현이 8위, 이창환이 10위로 랭킹 라운드를 통과했다.

64강부터 시작된 토너먼트는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대한민국박경모는 결승까지 진출했으나, 우크라이나빅토르 루반에게 아쉽게 패배하여 은메달을 획득했다. 임동현과 이창환은 모두 16강에서 탈락했다. 금메달은 우크라이나빅토르 루반, 동메달은 러시아의 바이르 바데노프가 차지했다.

자세한 경기 결과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1. 랭킹 라운드

wikitext

순위선수국가점수
1후안 레네 세라노MEX679
2망갈 싱 참피아IND678
3빅토르 루반UKR678
4박경모KOR676
5완 칼미잠MAS674
6발지니마 치렘필로프RUS671
7사이먼 테리GBR670
8임동현KOR670
9일라리오 디 부오ITA670
10이창환KOR669
11왕청펑TPE667
12마르코 갈리아초ITA667
13라파우 도브로볼스키POL667
14스카이 김AUS665
15브레이디 앨리슨USA664
16크리스핀 두에나스CAN664
17후루카와 다카하루JPN663
18쉐하이펑CHN663
19야체크 프로치POL661
20올렉산드르 세르듀크UKR661
21앨런 윌스GBR661
22모리야 류이치JPN661
23유수프 에르긴TUR660
24에두아르도 벨레즈MEX660
25안드레이 아브라모프RUS660
26청 추 시안MAS660
27무하마드 마르바위MAS659
28후안 카를로스 스티븐스CUB659
29궈청웨이TPE659
30마이클 나레이AUS658
31바이어 바데노프RUS658
32마르키얀 이바슈코UKR658
33다니엘 모릴로ESP657
34로렌스 고드프리GBR657
35장 샤를 발라동FRA656
36마크 하비에르PHI654
37캘빈 하틀리RSA654
38천쑤위안TPE654
39매튜 그레이AUS654
40리처드 존슨USA653
41빅 원더리USA652
42누누 폼보POR650
43표트르 퓌옹테크POL649
44마우로 네스폴리ITA649
45옌스 파이퍼GER648
46리원취안CHN646
47제이슨 리온CAN646
48막심 쿤다BLR646
49마그누스 페테르손SWE646
50존 데이비드 번스CAN644
51로맹 지루일FRA641
52네이 묘 아웅MYA637
53닐스 달DEN634
54타시 펠조르BHU632
55장린CHN632
56마틴 불리르CZE629
57알리 알-야지디QAT627
58마티 하타바FIN619
59다니엘 파블로프BUL618
60알렉산드루 보드나르ROU614
61루이스 트레이니니BRA610
62마게드 유세프EGY605
63호자톨라 바에지IRI604
64조셉 무아우사SAM563


5. 2. 토너먼트

남자 개인전 토너먼트는 2008년 하계 올림픽 양궁 랭킹 라운드 결과에 따라 결정된 64명의 선수들이 참가하여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각 경기는 12발을 쏘아 총점으로 승부를 가렸으며, 동점일 경우 슛오프(shoot-off)를 통해 승자를 결정했다.

대한민국에서는 임동현, 박경모, 이창환 세 선수가 출전했다. 랭킹 라운드 8번 시드를 받은 임동현은 16강전에서 미국의 빅 원더레에게 패배하며 탈락했다. 10번 시드의 이창환은 32강전에서 올림픽 기록을 세우며 승리했으나, 16강전에서 말레이시아의 정추시안에게 슛오프 끝에 아쉽게 패했다.

랭킹 라운드 4번 시드를 받은 박경모는 순조롭게 승리하며 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에서는 랭킹 라운드 1위였던 멕시코의 후안 레네 세라노를 꺾었으나, 결승전에서 우크라이나의 빅토르 루반에게 1점 차이로 패배하여 은메달을 획득했다.

금메달은 우크라이나빅토르 루반이 차지했으며, 동메달은 러시아의 바이르 바데노프가 획득했다.

5. 2. 1. 64강전 / 32강전 / 16강전 / 8강전

'''64강전'''

경기선수 1 (시드)점수선수 2 (시드)점수
1-- 후안 레네 세라노 (1)116-- 조셉 무아우사 (64)88
2-- 마르키반 이바슈코 (32)107-- 다니엘 모릴로 (33)115
3-- 크리스핀 듀에나스 (16)108 (18)-- 마그누스 페테르손 (49)108 (19)
4-- 후루카와 타카하루 (17)111 (18)-- 막심 쿤다 (48)111 (19)
5-- 임동현 (8)108-- 알리 살렘 (57)103
6-- 안드레이 아브라모프 (25)109 (25)-- 부치 존슨 (40)109 (26)
7-- 일라리오 디 부오 (9)111-- 마틴 불리르 (56)100
8-- 에두아르도 벨레스 (24)102-- 빅 원더레 (41)106
9-- 박경모 (4)116-- 루이스 트라이니니 (61)99
10-- 궈청웨이 (29)106-- 마크 하비에르 (36)102
11-- 라파우 도브로볼스키 (13)110-- 나이 묘 아웅 (52)106
12-- 올렉산드르 세르듀크 (20)107-- 옌스 피에퍼 (45)105
13-- 완 칼미잠 (5)105-- 알렉산드루 보드나르 (60)106
14-- 후안 카를로스 스티븐스 (28)107 (19)-- 칼빈 하르틀레이 (37)107 (18)
15-- 마르코 갈리아초 (12)114-- 니엘스 달 (53)97
16-- 앨런 윌스 (21)103-- 마우로 네스폴리 (44)99
17-- 빅토르 루반 (3)111-- 마게드 유세프 (62)96
18-- 마이클 나레이 (30)108-- 샤를 발라돈 (35)106
19-- 야체크 프로츠 (19)116-- 리 웬구안 (46)111
20-- 스카이 킴 (14)112-- 로맹 지루이유 (51)110
21-- 발지니마 치렘필로프 (6)112-- 다니엘 파블로프 (59)102
22-- 무함마드 마르바위 (27)106-- 첸 유안 (38)107
23-- 모리야 류이치 (22)109 (10)-- 피오트르 피아테크 (43)109 (9)
24-- 타시 펠조르 (54)100-- 왕 청팡 (11)110
25-- 시몬 테리 (7)104-- 마티 하타바 (58)105
26-- 정추시안 (26)109-- 매튜 그레이 (39)101
27-- 유수프 에르긴 (23)106-- 누누 폼보 (42)103
28-- 이창환 (10)112-- 장린 (55)108
29-- 브레이디 엘리슨 (15)111-- 존 번스 (50)89
30-- 쉐 하이펑 (18)106-- 제이 라이온 (47)111
31-- 바이르 바데노프 (31)114-- 로렌스 고드프리 (34)109
32-- 망갈 싱 챔피아 (2)112-- 호자톨라 바에지 (63)98



'''32강전'''

경기선수 1 (시드)점수선수 2 (시드)점수
1-- 후안 레네 세라노 (1)112-- 다니엘 모릴로 (33)111
2-- 마그누스 페테르손 (49)110-- 막심 쿤다 (48)112
3-- 임동현 (8)115-- 부치 존슨 (40)106
4-- 일라리오 디 부오 (9)108 (17)-- 빅 원더레 (41)108 (19)
5-- 박경모 (4)111-- 궈청웨이 (29)110
6-- 라파우 도브로볼스키 (13)111 (9)-- 올렉산드르 세르듀크 (20)111 (8)
7-- 알렉산드루 보드나르 (60)101-- 후안 카를로스 스티븐스 (28)108
8-- 마르코 갈리아초 (12)109-- 앨런 윌스 (21)110
9-- 빅토르 루반 (3)115-- 마이클 나레이 (30)105
10-- 야체크 프로츠 (19)111-- 스카이 킴 (14)110
11-- 발지니마 치렘필로프 (6)109-- 첸 유안 (38)101
12-- 모리야 류이치 (22)114-- 왕 청팡 (11)109
13-- 마티 하타바 (58)103-- 정추시안 (26)110
14-- 유수프 에르긴 (23)109-- 이창환 (10)117 (OR)
15-- 브레이디 엘리슨 (15)107-- 제이 라이온 (47)113
16-- 바이르 바데노프 (31)109-- 망갈 싱 챔피아 (2)108



'''16강전'''

경기선수 1 (시드)점수선수 2 (시드)점수
1-- 후안 레네 세라노 (1)110-- 막심 쿤다 (48)106
2-- 임동현 (8)111-- 빅 원더레 (41)113
3-- 박경모 (4)113-- 라파우 도브로볼스키 (13)105
4-- 후안 카를로스 스티븐스 (28)108-- 앨런 윌스 (21)104
5-- 빅토르 루반 (3)114-- 야체크 프로츠 (19)108
6-- 발지니마 치렘필로프 (6)110-- 모리야 류이치 (22)113
7-- 정추시안 (26)105 (19)-- 이창환 (10)105 (18)
8-- 제이 라이온 (47)110-- 바이르 바데노프 (31)115



'''8강전'''

경기선수 1 (시드)점수선수 2 (시드)점수
1-- 후안 레네 세라노 (1)113-- 빅 원더레 (41)106
2-- 박경모 (4)108 (19)-- 후안 카를로스 스티븐스 (28)108 (17)
3-- 빅토르 루반 (3)115-- 모리야 류이치 (22)106
4-- 정추시안 (26)104-- 바이르 바데노프 (31)109


5. 2. 2. 준결승 및 결승

'''준결승'''

선수 1점수선수 2점수비고
후안 레네 세라노 (멕시코)112박경모 (대한민국)115
빅토르 루반 (우크라이나)11210,10바이르 바데노프 (러시아)11210,8슛오프 결과 루반 승리



'''동메달 결정전'''

선수 1점수선수 2점수비고
후안 레네 세라노 (멕시코)110바이르 바데노프 (러시아)115



'''금메달 결정전'''

선수 1점수선수 2점수비고
박경모 (대한민국)112빅토르 루반 (우크라이나)113



'''최종 순위'''

순위선수123456789101112총점비고
금메달
빅토르 루반 (우크라이나)91010999101099910113금메달 결정전
은메달
박경모 (대한민국)99101010101099989112금메달 결정전
colspan=16 |
동메달
바이르 바데노프 (러시아)1099109991010101010115동메달 결정전
4후안 레네 세라노 (멕시코)91010109710989910110동메달 결정전


6. 메달리스트

wikitext

종목
남자 개인빅토르 루반 (UKR)박경모 (KOR)바이르 바데노프 (RU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